박미법 과학관법(3)
-
<박물미술과학관 법>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의 법들(4)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 조직과 공무원의 정원을 보는 4번째 글인데요. 지난 글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이 문화체육관광부의 소속기관이고, 국립현대미술관과 국립중앙과학관은 책임운영기관으로 운영되는 것과 다르다는 글로 마무리했는데요. 다시 들여다보니 국립중앙박물관의 공무원 정원을 정리하지 않았더라고요. 쩝. 그래서 이 부분 한 번 살펴보고 지나가 보려고 합니다. 앞의 글에서 봤던 문화체육관광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와 관련되어 있구요. 문화체육관광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문화체육관광부령)의 제47조(소속기관에 두는 공무원의 정원) 제4항에서 국립중앙박물관의 직급별 정원 조문이 쓰여 있구요. 별표 3의2에 이 숫자가 정확히 나옵니다. 국립중앙박물관 공무원의 정원 총계는 593이며, 정무직인 관장(차관급)과 시간..
2022.09.18 -
<박물미술과학관 법>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의 법들(3)
앞의 두 글에서는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의 근간을 이루는 법률, 법령, 법규들을 살펴 보았는데요. 이번에는 그러니까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의 사람들을 두는 법을 한 번 살펴 보려고 합니다. 박물관미술관법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소관부처이고, 과학관법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 소관부처임을 알았죠. 그리고,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은 문화체육관광부의 소속기관인 국가기관이구요. 국립중앙과학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의 국가기관입니다. 그러니까, 공무원 조직이다 이렇게 보시면 되는데요. 우리나라 정부조직과 공무원의 정원은 행정안전부가 소관하고 있는 법률인 정부조직법에 상위법인데요. 이 법을 근거로 각 부처의 조직과 공무원의 정원이 관리되고 있어요. 실제로 새로운 부서나 공무원을 증원하려고 한다면, 행정안전부에서..
2022.09.13 -
<박물미술과학관 법>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의 법들(2)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과 관련된 법령들을 보고 있는데요. 오랫만에 다시 시작하네요.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의 법들(1) 에서 본 것처럼 지자체를 뺀 정부부처 소관의 법률들을 살펴 보았는데요. 상위법과 하위법을 파악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관련 법령들을 좀 더 들여다 보려고 합니다. 앞서 밝힌 것처럼, 정부부처의 관련 법령은 박물관미술관법, 과학관법, 그 외(농업박물관법, 항공박물관법 등)으로 구분할 수가 있겠는데요. 비교적 오랜시간 영향을 주고 있는 법들은 그래도 박물관미술관법과 과학관법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흔히, 박미법이라고 통상적으로 부르는 법의 약칭이 바로 박물관미술관법이구요, 전체이름은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이지요. 이 법은 아래에서 보시는 것처럼 1991년 11월 30일에 제정되어 이..
2022.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