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보는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 2020년 현황 비교(2)
2021. 11. 3. 01:15ㆍ돋보기
728x90
2020년의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 현황을 지역별로 살펴보겠습니다. 기본적인 숫자의 경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지역별 차이도 극적인 변화는 없어보이지요. 하지만,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의 현황을 비교하기에는 좋아 보이는데요.
전체적으로 보면, 이렇게 말할 수도 있겠네요. 10개의 전시문화시설이 있다고 하면, 열의 일곱은 박물관, 열의 둘은 미술관, 열의 하나는 과학관이 있다 이렇게요. 예외인 경우도 있는데요. 예를 들면, 세종시에는 미술관도 과학관도 없구요. 울산에는 미술관이 없네요. 대구의 경우에는 열의 여섯은 박물관, 열의 셋은 과학관, 열의 하나는 미술관이 있다 이렇게요. 하지만, 대구에는 다른 광역시에 비해 박물관도 미술관도 적은 편이지만, 반대로 과학관은 많은 편이구요.
구분 | 박물관 | 미술관 | 과학관 |
경 기 | 136 | 53 | 15 |
서 울 | 128 | 48 | 14 |
인 천 | 28 | 5 | 5 |
강 원 | 99 | 19 | 6 |
충 남 | 57 | 9 | 11 |
충 북 | 44 | 12 | 7 |
대 전 | 15 | 5 | 3 |
세종 | 7 | 0 | 0 |
경 북 | 70 | 11 | 14 |
대 구 | 16 | 4 | 8 |
경 남 | 75 | 10 | 15 |
부 산 | 31 | 8 | 6 |
울 산 | 10 | 0 | 2 |
전 남 | 63 | 32 | 15 |
전 북 | 41 | 18 | 9 |
광 주 | 12 | 14 | 2 |
제 주 | 65 | 22 | 6 |
당연히 눈에 잘 들어오지 않으니, 그래프로 그려봐야겠지요. 방사형 그래프를 보면, 형태가 보이는 군요. 박물관과 미술관이 위쪽이 뭉특한 별 모양을 보이구요. 과학관은 별 분포의 크기가 작아서 형태가 뚜렷하지는 않네요. 하지만 위의 테이블과 같이 보면은요, 별의 크기가 균형적임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꼭지점이 될만한 숫자가 경기, 서울, 경북, 경남, 전남이 14곳, 15곳이 되는 것을 보면, 박물관과 미술관 같이 별의 길이 차이가 크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관의 숫자가 너무 적어서 이런 비교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는 글쎄요. 우리나라에 과학관이 적다는 것이 더 크게 다가오네요.
'돋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돈내관> 군산근대역사박물관 '해양물류역사관' 관람 후기 (0) | 2021.11.08 |
---|---|
<숫자로 보는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 국립박물관, 국립미술관, 국립과학관의 2019년 관람객 수는?? (0) | 2021.11.07 |
<숫자로 보는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 2020년 현황 비교(1) (0) | 2021.11.01 |
<숫자로 보는 과학관> 우리나라 국립과학관 최근 3년 관람인원은? (0) | 2021.10.28 |
<숫자로 보는 과학관> 2020년 우리나라 과학관 현황(3) (0) | 2021.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