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0. 28. 01:23ㆍ돋보기
안녕하세요, 미스터뮤지엄입니다. 박물관, 미술관에 이어 과학관도 관람객 수를 찾아보고 정리를 해보고 있는데요. 과학관의 자료는 앞에서도 계속 말씀드렸지만, 각 기관별 데이터를 알려주지 않고요. 분석결과만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 주제 관람인원, 관람객 수의 경우에는 <숫자로 보는 과학관>(1), (2), (3)에 비해 자료를 찾아서 정리하는 것이 더 힘들었구요. 과학관의 관람객 수가 많은 것을 찾기가 어려워서 비교적 운영에 안정적이고 자료가 공개되어 있는 국립과학관의 관람인원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9개 국립과학관을 다 하기는 어려워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아래에 있는 과학관 5곳만 정리해 보았습니다.
출처는 국립중앙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의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는 사업계획서, 연보, 연차보고서, 분기별 관람인원을 보고하는 자료를 원 출처로 하였구요. 이 숫자들을 제가 그래프로 한 번 살펴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2020년만 보기에는 아쉬워서 최근 3년간을 보도록 할텐데요.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앞서 살펴보았던 박물관, 미술관의 숫자와 직접 비교하기에는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통계자료를 조사하는 기간이 달라서인데요. 문체부가 조사하는 자료의 데이터는 코로나19 이전의 데이터만 나와 있어요. 예를 들면, 문체부의 2021년 조사자료는 2020.1.1.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전년도의 것이 되고요. 과학관의 숫자는 해당년도에 해당되는 숫자를 인용하기 때문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이 글을 쓰는 현재 기준으로 문체부의 자료는 코로나19 이후의 관람인원이 없고, 여기의 과학관 자료에는 코로나19 이후의 관람인원이 포함되어 있다. 이런 겁니다.
먼저, 2020년 관람인원을 보면, 국립대구과학관과 국립부산과학관이 20만 명는 관람객이 방문하였구요. 중앙과학관과 과천과학관이 20만 명이 조금 덜 되게 방문하였네요. 광주과학관은 5만 명이 조금 넘는데요. 이것은 코로나19 가운데 전시관을 실제로 얼마나 운영했느냐, 코로나19로 인한 피해가 얼마나 컸느냐 등에 따라 큰 차이가 나지 않을까 싶어요.
그러면 코로나19 이전에는 어땠을까요? 2019년 또는 2018년의 숫자를 보면 대부분이 100만 명의 관람객이 근접하거나 넘거나 하는 형태를 보이네요. 2019년의 국립과학관에 100만여 명의 관람객이 방문한다고 보면, 박물관에는 못미치지만 미술관과 비슷한 관람인원이라고 볼 수도 있겠네요. 하지만, 직접 비교하기엔 너무 어려워서. 이정도로만 쳐다 보시는 게 어떨가 합니다. 향후 문체부와 비슷한 수준으로 과학관의 통계가 조사된다면,(그런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으나) 비교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사실, 궁금해서 비교해보고 싶었거든요. 우리는 어떤 민족이냐? 뭐 이런 시시한 질문에 답을 내려 보고 싶어서요. 하지만 대략 예상은 되지요. 그 예상은 각자의 몫으로 남기구요. 이만 쓰겠습니다.^^
'돋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숫자로 보는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 2020년 현황 비교(2) (2) | 2021.11.03 |
---|---|
<숫자로 보는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 2020년 현황 비교(1) (0) | 2021.11.01 |
<숫자로 보는 과학관> 2020년 우리나라 과학관 현황(3) (0) | 2021.10.27 |
<숫자로 보는 과학관> 2020년 우리나라 과학관 현황(2) (0) | 2021.10.26 |
<숫자로 보는 과학관> 2020년 우리나라 과학관 현황(1) (0) | 2021.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