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보는 과학관> 2020년 우리나라 과학관 현황(3)

2021. 10. 27. 01:42돋보기

728x90

<숫자로 보는 과학관> 2020년 과학관 현황(2)에 이어 지역별로 국립, 공립, 사립 등의 과학관 숫자를 살펴봅니다. 출처는 (1), (2)와 동일한 국립중앙과학관(smart.science.go.kr, 2020.10.8.)자료입니다.

 

수도권의 경우에는 사립 과학관이 22곳으로 가장 많았구요, 공립이 11곳, 국립이 1곳의 순서로 나타나네요. 하지만, 지방은 수도권과 달리 공립(75곳)이 월등히 많구요. 그 다음이 사립(21곳), 국립(1곳)의 순서입니다. 지방에 있는 사립 과학관을 다 합쳐도 수도권에 있는 사립 과학관과 거의 비슷한(?, 1곳이니까 같다치고요.) 수준이네요.

 

권역별로 보면은 요. 광주전라권과 부산경남권은 공립디 20곳으로 가장 많구요. 광주전라권에는 국립과학관이 권역 중에서 가장 많이 있네요. 제주와 강원권에는 현재 국립과학관이 없고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발표에 따르면, 2023년에 강원권에 국립원주과학관을 개관을 예정인데요. 네이버에서도 "원주과학관" 검색을 해보면 확인할 수 있네요. 

구분 국립 공립 사립
수도권 1 11 22 34
지방권 8 75 21 104
광주전라권 3 20 3 26
부산경남권 2 20 1 23
대구경북권 2 13 7 22
대전충청권 1 16 4 21
제주 0 3 3 6
강원권 0 3 3 6

 

지역별로 보면은 요. 전북, 부산, 대구에 국립과학관이 2곳이 있었구요. 경기, 광주, 대전에 국립과학관이 있구요. 그 외에는 없네요. 국립어린이과학관이 서울에 있긴하지만, 국립과천과학관 소속기관이어서 조사할 때 따로 떼내지 않았나 보네요. 미리 파악하고서 정리를 했어야 하지만, 지금까지 해 온 것이 있으니 그냥 넘어가겠습니다. ^^;;

사립과학관의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경기, 서울, 대구 정도구요. 그 외에는 국립과학관이 없거나, 공립과학관이 높은 곳이네요.

구분 국립 공립 사립
경 기 1 5 9 15
서 울 0 3 11 14
인 천 0 3 2 5
전 남 0 12 3 15
전 북 2 7 0 9
광 주 1 1 0 2
경 남 0 14 1 15
부 산 2 4 0 6
울 산 0 2 0 2
경 북 0 11 3 14
대 구 2 2 4 8
충 남 0 9 2 11
충 북 0 5 2 7
대 전 1 2 0 3
세종 0 0 0 0
제 주 0 3 3 6
강 원 0 3 3 6

통계조사가 쉽지 않은 것이다 보니, 현실을 얼마나 잘 반영할 것인가가 매우 중요한데요. 그 기준 마련과 실제 현장의 결과가 잘 드러나는 것이 중요한데요. 어디까지나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보는 것이다 보니 한계가 있는 점은 이해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