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보는 과학관> 2020년 우리나라 과학관 현황(1)

2021. 10. 25. 07:18돋보기

728x90

박물관, 미술관에 이어 과학관에 대한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현황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나가려고 합니다. 이 자료의 출처는 국립중앙과학관(2020.10.8., smart.science.go.kr)입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담당과(문화기반과)에서 문화기반시설에 대한 조사결과를 직접 홈페이지를 통해서 공표하는데요. 과학관에 대한 조사는 규모 등이 작아서 그런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아닌 그 소속기관인 국립중앙과학관이 사업을 소관하지만, 한국과학관협회를 통해서 발표(국립중앙과학관이 운영하는 전국과학관길라잡이 홈페이지의 글을 게시하는 것은 한국과학관협회로 나타남)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0년 6월을 기준으로 조사한 우리나라 과학관의 수는 모두 138곳입니다. 19년에는 이 보다 많았는데요. 2020년에는 3곳이 폐관이 되었다고 합니다.

수도권
(34)
경 기 15
서 울 14
인 천 5
지방권
(104)
광주전라권
(26)
전 남 15
전 북 9
광 주 2
부산경남권(23) 경 남 15
부 산 6
울 산 2
대구경북권
(22)
경 북 14
대 구 8
대전충청권
(21)
충 남 11
충 북 7
대 전 3
세종 0
제주(6) 제 주 6
강원권(6) 강 원 6

 

수도권에는 과학관이 34곳이 있는데요.  경기도(15곳), 서울(14곳), 인천(5곳) 순으로 많네요.

지방에는 과학관이 104곳이 있는데요. 광주전라권(26곳)이 가장 많구요. 부산경남권(23곳), 대구경북권(22곳), 대전충청권(21곳), 제주(6곳), 강원(6곳) 순으로 많습니다. 

수도권이 타 지방에 비해 과학관의 수가 많은 현상은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본 것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지방의 경우 대체로 비슷한 편을 보이는데요. 지방에서는 광주전라권에서 과학관이 가장 많은 곳으로 보이네요.

 

지역별로 보면 경기, 전남, 경남이 공동으로 14곳으로 과학관이 가장 많은 지역이구요. 그 다음이 서울과 경북이 14곳, 충남이 11곳으로 많구요. 그 외의 지역은 10곳이 채 되지 않습니다. 세종은 미술관도 없지만, 과학관도 현재 없군요.

나중에 함께 비교하면서 볼 터이지만, 지역별로 과학관의 수는 박물관, 미술관에 비해 매우 적다는 점을 새삼 생각해보게 됩니다. 과학관을 가려면 미리 꼭 찾아보고 가야된다. 뭐 이렇게 생각해도 괜찮겠죠?. 그럼 이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