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관 통계(4)
-
<숫자로 보는 과학관> 우리나라 국립과학관 최근 3년 관람인원은?
안녕하세요, 미스터뮤지엄입니다. 박물관, 미술관에 이어 과학관도 관람객 수를 찾아보고 정리를 해보고 있는데요. 과학관의 자료는 앞에서도 계속 말씀드렸지만, 각 기관별 데이터를 알려주지 않고요. 분석결과만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 주제 관람인원, 관람객 수의 경우에는 (1), (2), (3)에 비해 자료를 찾아서 정리하는 것이 더 힘들었구요. 과학관의 관람객 수가 많은 것을 찾기가 어려워서 비교적 운영에 안정적이고 자료가 공개되어 있는 국립과학관의 관람인원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9개 국립과학관을 다 하기는 어려워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아래에 있는 과학관 5곳만 정리해 보았습니다. 출처는 국립중앙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의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는 사업계획서, ..
2021.10.28 -
<숫자로 보는 과학관> 2020년 우리나라 과학관 현황(3)
2020년 과학관 현황(2)에 이어 지역별로 국립, 공립, 사립 등의 과학관 숫자를 살펴봅니다. 출처는 (1), (2)와 동일한 국립중앙과학관(smart.science.go.kr, 2020.10.8.)자료입니다. 수도권의 경우에는 사립 과학관이 22곳으로 가장 많았구요, 공립이 11곳, 국립이 1곳의 순서로 나타나네요. 하지만, 지방은 수도권과 달리 공립(75곳)이 월등히 많구요. 그 다음이 사립(21곳), 국립(1곳)의 순서입니다. 지방에 있는 사립 과학관을 다 합쳐도 수도권에 있는 사립 과학관과 거의 비슷한(?, 1곳이니까 같다치고요.) 수준이네요. 권역별로 보면은 요. 광주전라권과 부산경남권은 공립디 20곳으로 가장 많구요. 광주전라권에는 국립과학관이 권역 중에서 가장 많이 있네요. 제주와 강원권에..
2021.10.27 -
<숫자로 보는 과학관> 2020년 우리나라 과학관 현황(2)
2020년 우리나라 과학관 현황(1)에서는 우리나라 전체 과학관의 숫자와 지역별 숫자를 살펴보았는데요. 박물관, 미술관과 유사하게 운영주체로 나누어 살펴보려고 합니다. 박물관과 미술관의 경우, 국립, 공립, 사립, 대학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죠. 현실이 그러하고, 문체부의 유형별 구분에도 나와 있죠. 그러나, 과학관은 여기서 대학이 없는 국립, 공립, 사립으로만 구분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국립중앙과학관이 그렇게 구분하여 조사하고 있구요. 실제로 우리나라 대학에서 운영하는 과학관은 들어본 기억이 없습니다. 외국과는 다르게 말이죠. 자료의 출처는 동일하게 국립중앙과학관의 홈페이지(smart.science.go.kr, 2020.10.8.)자료를 사용하였습니다. 우리나라 과학관의 운영주체별 순위..
2021.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