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있는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 관련 대학의 학과

2023. 5. 5. 00:17돋보기

728x90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은 따로 정해진 학과가 거의 없다고 보는 것이 보다 정확할 것 같다.

이렇게 말할 수 있는 이유는 박물관은 역사학 전공자, 보존과학 전공자들이 전문직으로 채용되는데 분야가 많이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국립중앙박물관은 유물관리부, 고고역사부, 미술부, 세계문화부, 보존과학부 등에서 역사전공자, 금속전공자, 의류전공자 등 다양한 전공자들이 있다. 물론, 한국사, 세계사, 미술사, 보존과학, 문화재 등의 전공분야로 말할 수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박물관이 필요로 하는 직무에 맞는 전공을 찾는다고 인식이 되고, 현재가 아닌 과거의 유물의 역사, 이것을 실증하는 고고, 손상과 복원 등을 하는 보존복원 등에 있어서 그야말로 다양한 전공자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참, 교육도 있다. 그래서 주로 박물관이 채용하는 형태를 보면, 역사학 전공과 보존과학 전공, 흔치 않게 교육 등도 있다. 미술이나 과학분야도 유사한 관점으로 보면 된다.

공개채용은 필기시험, 면접시험 등 공무원 시험과 비슷한 형태이며, 경력채용은 서류전형과 면접전형인데 필기시험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몇 년 전에 보니까 연구관 채용을 5급 채용시험과 같은 논리시험의 필기시험 정도가 있었다.

 

자격증도 준학예사, 학예사3급, 학예사2급, 학예사1급 이 있긴 하지만, 준학예사는 필기시험을 쳐야 하고, 학예사3급부터는 학력과 인정기관에서 관련업무를 근무한 기간을 중요하게 본다.

 

그래서 대학에서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 관련 대학과 학과는 말 그대로 관련분야로 생각하면 되고, 대학들이 특성화대학 또는 타대학과 차별화하려는 차원에서 박물관 관련 학과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대학마다 사정이 다르겠지만 대학원에서 운영하는 사례가 많고, 이 분야를 전공한 교수라기 보다는 대학에서 또는 운영하려는 관심학과의 교수들이 전공교수로 편성되는 경우가 흔하다. 그러다보니 학과홈페이지도 찾아보기 힘들다. 이런 관점에서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 관련 대학을 쳐다보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직접적으로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 큐레이터, 보존과학, 문화재를 학과명으로 명기한 곳으로 한정한다.

 

대학알리미에서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을 검색해보면,

 

박물관은

박물관미술관교육전공, 박물관미술관학과, 박물관미술관교육, 박물관미술관교육전공, 박물관경영전공, 박물관과, 박물관교육학학과간협동과정, 박물관미술관교육, 박물관미술관교육전공, 박물관및미술관교육전공 이 있고

 

미술관은

미술관박물관학전공

 

과학관은

과학관학과

로 나타난다.

 

이렇게 살펴보면, 박물관미술관은 공통성을 많이 가지고 있고, 과학관을 끼지 못하는 형국이다. 그리고, 박물관미술관은 교육과 경영과 연결되기도한다.

 

모든 대학을 열겨하기는 어렵지만, 정리할 수 있는대로 해보면 아래와 같다.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학과간 협동과정  과학관학과로 운영: 과학관학 석사, 과학관학 박사 학위 수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박물관미술관교육학전공: 교육학석사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미술관박물관학전공: 행정학석사(미술관박물관학전공)

동덕여자대학교 예술대학 큐레이터학과 미술학사 학위 수여

                          일반대학원 큐레이터학과 미술학석사, 미술학박사 학위 수여

동아대학교 역사문화학부 

서울여자대학교 연계융합전공: 연계융합전공 중 하나로 박물관학전공을 운영: 문학사 학위 수여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물관교육학과은 학과간 협동과정으로 운영: 문학석사, 박물관교육학박사 학위 수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예술경영학과 박물관미술관전공: 예술경영학석사

 

그래서 개인적인 생각은 하고 싶은 공부를 대학에서 하고, 직무경험을 많이 쌓거나 대학원을 다니면서 이 분야를 공부하고, 기회를 노려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